아이들에게 있어서 꾸지람은 평생 듣고 싶지 않은 것 중의 하나 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꾸지람은 아이의 일생을 안내해주는 나침반이자 사랑의 행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꾸지람에도 요령과 원칙이 있습니다. 혼내는 것이 목적이 아닌 건강한 아이로 키우는 것이 목적이라면 다음 네가지 올바른 아이 훈육법을 항상 마음 속에 담고 실천해 보세요.
우리아이들은 신이내려보낸 선물입니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아이들을 혼내고 꾸짖을 때 잘못된 방법으로 한다면 우리아이들의 인성은 뜻하지 않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올바른 아이 훈육법과 꾸지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꾸지람과 벌은 다릅니다.
꾸지람, 다른 말로 훈육은 벌과 다른개념의 말입니다. 간혹 혼동해서 두 단어의 차이를 모르고 행동하는 부모가 있다면 두 단어의 차이를 확실하게 인식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아이 훈육이라함은 기대한 품성과 행동기준에 도달하기를 바라며 하는 일련의 훈련으로 윤리적, 정신적 향상을 목적으로 합니다. 아이에게 훈육을 하는 목적은 자제심을 가르치고 그것을 실천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반면 벌이라 함은 잘못하거나 죄를 지은 사람에게 주는 고통이라는 사전적 의미가 있습니다. 즉 어떤 잘못된 행동에 대한 물리적 행동같은 것일 겁니다. 예를 들어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말대신 매가 앞선다면 그 아이는 자기의 잘못된 행동보다도 평생 매만을 기억할지도 모릅니다. 때문에 아이는 한 순간의 고통을 벗어나기위해 올바르지 않은 편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규칙을 명확하게 알려주세요.
아이로 하여금 생각하고 실천해야 할 정확한 규칙을 알려주고 이를 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행동이 어떤 것인지를 알려주고 이해시켜 주어야 합니다. 아이와 함께 규칙에 대해서 그리고 부모가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를 하므로써 아이 혼자서가 아니라 가족이 한팀이 되서 규칙을 지켜나가야 된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답니다.
단, 규칙을 정할 때는 부모의 기대치가 아닌 아이가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규칙을 정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그 규칙을 어겼을 경우 거기에 합당한 아이 훈육법과 벌을 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잘못된 행동은 끊임없이 고쳐주고 잘했을 때는 칭찬해 줍니다.
부모는 아이의 행동을 보고 잘했을 때는 칭찬을 잘못했을 때는 고쳐주는 등의 일관성 있는 행동이 아주 중요하답니다. 아이가 긍정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는 잘못된 행동에 대해 잘 훈육을 하고 일관성 있게 대해 준다면 아이의 행동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올바른 행동에 대한 지속적이고 꾸준한 칭찬을 한다면 아이에게 이러한 행동은 평생의 습관이 될 것입니다. 만일 부모의 행동이 일관성이 없다면 아이는 혼란에 빠지게 되며 그때그때의 부모의 상항에 맞춰 눈치를 보며 행동을 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아이들은 부모가 무엇을 바라는지 정학히 알 때 안정감을 느낀다고 합니다. 아이들은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 부모가 알고 있다는 것을 늘 확인하고 싶어 합니다. 일관성 있는 규칙의 틀 안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감정적으로 보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자릴 수 있답니다. 올바른 아이 훈육법은 아마 부모에게는 평생 필요할 지도 모르겠네요.
* 아이를 진지하게 대해보세요.
아이를 꾸짖을 때는 절대 아이가 아닌 잘못된 행동을 꾸짖어 주세요. 그리고 아이를 착한아이, 아쁜아이로 이등분적으로 평가하지 말아주세요.. 아이에게 꾸지람을 줄 때도 아이가 부모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으며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존중을 받고 있음을 느끼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같은 잘못이라도 아이의 상황, 성격, 심리, 감수성 등을 고려해 아이를 꾸짖는 것도 중요합니다.
절대 주의할 점은 아이를 꾸짖을 때 부모의 감정이 개입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이상과 같이 올바른 아이 훈육법과 꾸지람 방법을 통해 아이의 자존감과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질 수 있는 아이로 성장 시킬 수 있을 겁니다.
'육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육아지원금 혜택 다양하게 있습니다. (0) | 2017.03.10 |
---|---|
아기가 감기 걸렸을때 증상에 따른 식이요법 (0) | 2017.01.25 |
영유아 조기교육 과연 필요할까요? (0) | 2016.12.14 |
돌전 아이의 스트레스 원인과 해소방법 (0) | 2016.11.26 |
유아용세제의 안전성과 성분 (0) | 2016.11.22 |